이번 post에서는 제가 Zoom을 사용하면서 추가했으면 좋았을 거라고 생각하는 기능들에 대해서 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Zoom 회의 이후에 해당 회의에 있던 멤버들의 연락처를 추천해주는 기능
지금 현재 Zoom을 통해서 회의를 한다면 일회성으로 모이고 다시 사라지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만약에 팀 프로젝트 과제를 한다면은 조원들의 연락처를 따로 찾아봐야 하는데, 이러한 기능이 있다면은 팀 프로젝트는 훨씬 수월해질 겁니다. 또한, 이러한 기능을 통해서 채팅 기능도 더욱 활발히 사용될 수 있어 Zoom의 활용도도 엄청 올라갈 것 같습니다.
2. 예약된 회의 직전에 알람 기능 및 자동 참가 기능
수업이나 회의를 Zoom과 다른 플랫폼(예를 들어, YouTube live나 LMS)과 섞여서 사용하다보면, 가끔씩 오늘 Zoom을 활용한 수업이나 회의가 있는지를 깜빡할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미리 예약을 해두면 저 수업이나 회의 관련해서 몇 분전에 알람을 울리거나 시작하면 자동으로 참가할 수 있도록 pop-up창이 떠오르게 하는 걸 생각해보았습니다.
3. Zoom의 기본적인 사용법에 관련된 튜토리얼 기능 제공
이번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서 Zoom을 새로 사용하는 유저들이 많이 늘어났습니다. 그러다 보니 컴퓨터를 잘 다루지 못 하는 사람들은 Zoom을 다루기 어려울 수 있는데 일단 화상회의라는 환경이 낯설수도 있고 처음 들어가면 Zoom에 대한 사용법은 일일이 찾아봐야하기 때문입니다. (구글 같은데 보시면 Zoom을 처음 사용하니 생기는 해프닝들을 어렵지 않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저희 학교도 해프닝들이 좀 있었고요!) 그래서 저는 Zoom이 만약 적어도 최소한의 사용법 정도는 숙지할 수 있도록 튜토리얼 기능을 제공한다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이상 제가 생각해본 아이디어들이었습니다!
Wednesday, April 29, 2020
(Zoom) Zoom에 대한 내가 생각하는 개선안
지난 post에서 제가 Zoom의 문제점들에 대해서 서술했습니다.
그래서 이번 post에서는 제가 생각해낸 개선안들에 대해서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1. End-to-End encryption 미지원
개선안: 너무 명확합니다. End-to-end encryption을 이제라도 지원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를 지원한다는 것을 공개적으로 투명하게 증명해서 저 큰 실수를 만회하는 것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회사의 잘못이 분명하고 이미 깨진 신뢰는 다시 회복하기에는 어려우나 지금이라도 개선하는게 옳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래야 적어도 현재 사용하고 있는 유저들을 붙잡을 수 있으며 여러 기업에서 다시 채택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 Zoom Bombing
개선안: 들어올 수 있는 User ID들을 지정해서 해당 유저들만 들어올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거나 참가시에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게 방법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사실 Zoom 회의에서 호스트가 해결하는 방법도 있는데 버튼들을 이러한 순서로 누르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참가자 관리' -> '...' -> '회의 잠금'
이러한 버튼들을 순서대로 누르면 더 이상 누구도 회의에 더 들어올 수 없다던데 이 기능도 사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Zoom 회의 잠금 버튼 >
3. 채팅기록이 저장되지 않는 것
개선안: 채팅창을 영상 화면과 같이 일체화 시키도록 다시 설계하면 될 것 같습니다. 아니면 채팅을 하면 영상화면에서 특수효과처럼 채팅 내용을 작게나마 나타낼 수 있으면 좋지 않았을 까 싶습니다.
아니면 영상을 저장할때에 자막파일이나 로그로만 따로 저장하는 것도 방법일 것 같습니다.
이상 제가 생각해낸 개선안들입니다. 다음에는 제가 Zoom에 더 추가하고자 하는 아이디어들에 대해서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Zoom) Zoom을 사용하면서 느낀 문제점들
올해 많은 대학교들이 한 학기를 전면 온라인 강의로 전환하면서 Zoom을 많이 사용하게 되었고 Zoom과 관련해서 문제점들도 많이 떠올랐습니다. 저도 이번에 Zoom을 사용하면서 몇몇 문제들은 좀 심각하다고 느꼈는데요. 그래서 이번 post에서는 제가 느낀 문제점들을 말해보려고 합니다.
1. End-to-End encryption 미지원
이 문제가 제일 큰 문제인데, 여러 회사나 국가에서 사용 금지된 이유이기도 합니다. Zoom은 end-to-end encryption를 지원한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지원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참고: 보통적인 encryption은 user와 server만 서로 message를 알아볼 수 있도록 message를 암호화 시키고 이를 user와 web-site만 해독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그러면 중간에 message를 가로채도 암호화 되어 있어서 해독할 수 없는건데 이런 방법을 HTTPS encryption이라고 합니다.
end-to-end encryption은 server도 암호를 해독할 수 없고 user들 끼리만 message를 공유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그래서 Zoom을 사용해서 주고받은 메세지들은 전부 Zoom 회사도 알아볼 수 있었다는 의미었으므로 보안에 문제가 있었습니다.
<Zoom End-to-End Encryption을 지원 안 한다는 기사>
2. Zoom Bombing
Zoom Bombing 같은 경우는 제 3의 유저가 Zoom의 회의 링크를 알아내어 들어와서 말썽을 일으키는 문제입니다.
쉽게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저희 학교의 몇몇 수업에서는 시험 때 Zoom을 시험 시간동안 켜놓고 해서 부정행위를 방지하게 합시다. 그렇지만 만약에 타 학교 학생이 저 링크를 알았다고 생각합시다. 그러면 저 학생은 저 수업과는 아에 무관하지만 들어올 수 있고 시험시간에 노래를 틀어버리거나 수업에 방해되는 영상을 틀어버릴 수도 있습니다. 저런 테러행위가 바로 Zoom bombing입니다.
그래서 실제로 제 3자가 들어와서 화면 공유 기능으로 포르노 영상이나 수업에 방해되는 영상을 틀어버리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또한, Deep web에서는 Zoom bombing을 할 수 있는 링크를 캐어오는 사이트도 존재한다고도 합니다.

<Zoom Bombing 예시>
3. 채팅기록이 저장되지 않는 것
줌으로 회의를 할때에 이를 호스트가 녹화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그 기능에서 제가 개인적으로 느낀 문제점인데, 화면만 녹화가 되고 채팅창은 분리되어 있어서 질문을 채팅으로 할때에 교수님이 직접 질문을 다시 읽어주시고 답변을 해주셔야 생기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Zoom 화면 녹화 기능>
제가 찾아본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았고 다음 post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제가 생각해본 방안들에 대해서 설명할 예정입니다.
참고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cjY7_StY6Gs
https://7news.com.au/sport/olympics/scottish-swimmings-zoom-session-bombed-with-disturbing-x-rated-footage-c-977330
https://theintercept.com/2020/03/31/zoom-meeting-encryption/
https://namu.wiki/w/ZOOM(%ED%94%8C%EB%9E%AB%ED%8F%BC)#s-3
https://www.videosolo.com/images/resources/zoom-record.jpg
Subscribe to:
Posts (Atom)